콩관련정보(콩의역사)
· 콩의역사
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삼국 형성기에 이미 전국적으로 콩 재배가 보편화되고 있었음이 문헌으로 뒷받침되며,
고고학적으로는 1959년 출토된 함경북도 회령군 오동의 청동기 유물인 토기의 밑바닥에서 팥, 조와 더불어 탄화된 콩이 출토되었는데, 오늘날 재배종과 크기가 비슷하여 재배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시사한 바 있다. 또한 1972년 경기도 양평군 팔당 수몰지구에서 밑바닥에 콩 무늬가 있는 청동기 유물이 출토된 바 있다. 이성우(1984)는 이러한 유물과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옛 고구려 땅과 한반도가 콩의 원산지에 해당하며 농경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청동기시대에 콩 재배가 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. 또한 권신한(1983)도 중국에서 기원전 2500년경부터 재배되던 콩이 한반도에 전파되어 농작물로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200~1500년경일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.
콩 재배는 오랜 기간에 걸쳐 계속 확대되었으며, 1930년에 남북한 전체의 콩 재배면적은 두류 총 재배 면적의 약 72%인 792,979ha에 달했다. 그 후에는 재배 면적이 약간 감소되었다. 한편 남한에서는 1950년대 이후에 재배가 서서히 늘어 1968년에는 313,501ha, 245,257톤을 생산하여 최고에 이르렀고 그 후에는 감소 추세였다.
· 삼국시대의 콩
삼국형성기에 중국의 사서류에 조, 기장, 보리, 콩, 벼 등이 주종을 이루면서 삼국시대로 이어 졌다.
이때 재배되었던 콩에는 흑대두, 황대두, 백대두가 기록되어 있다.
· 고려시대의 콩
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를 걸친 우리나라 삼국시대 전기에 재배되고 있던 콩은 흑대두, 백대두가 주류를 이러었던 것으로 고려시대에소 그대로 이어졌었다. 콩은 얫이름이 숙으로 불리우다가 1376년 이르로 두로 바뀌고 뒤이어 황두로 표현되는 등 변화하여 왔다. 이 때 황대두의 재배가 지배적이었고 발작물의 납세를 황대두로 하였고 미곡에 대응할 정도로 황대두를 널리 재배하였다. 고려 고중(1236년)때 콩나물을 햇별에 말려서 약으로 쓴다고 한 것을 보면 고려사회에서 이미 흑색콩이 실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.
콩의 재배법과 직접 관련된 것으로는 고려말 고서의 한구절에서 "돌밭을 갈아 봄에 콩을 심고 물가에 자며 밤에 고기를 낚는다" 하였으니 비옥한 밭 이외에도 돌밭 이를테면 개간한 밭이나 척박토에서도 콩을 재배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춘파하였으니 조파, 만파 등의 파종시기 개념이 이미 성립되어었다.
· 조선시대 초기(15~16세기 중심)
중국 농서(농서를 우리나라말로 번역하여 널리 후세에 전하였고, 한편 농업의 진흥책으로 농사에 관한 지침서)를 편찬하여 보급하였다
- 콩재배가 단순하지 않았던지 지나치게 파종기에 관심을 두었고 성장과정을 음양설로 식물생리학적 해석에 치중
· 조선시대 중기(17~18세기 중심)
국내적으로 점차 산업의 진흥을 위한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고 대외적인 문물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살용학문이 성숙되면서 농학은 마침내 조선조 증기사회에서 실학의 중심분야가 되었다.
· 조선시대 말(19~한말)
우리나라의 전래농법은 17~18세기에 토착화단계를 넘어서 우리나라 풍토에 알맞은 새로운 농법이
영농의 과학화에 접근하고 있었다
조선조 말기의 콩품종은 25품종이 있었다
· 재배기술의 변천
문헌상으로 보면 1273년 고려 14년에 완선항 중국의 농서에는 처음으로 콩과 팥을 포함하는 주요작물의 재배와 기후,
풍토 및 파종과 같은 재배기술이 해설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삼국시대 이후의 고농서에서부터 구한말에 이르기까지 차례로 저술된 많은 농서에 콩의 재배기술 또는 품종해설이 많이 소개되어 우리나라의 콩 재배기술의 발달 및 보급에 적지 않은 공헌을 하여 왔다.
그러나 근대적인 시험연구가 시작된 것은 1906년 권업모범장이 설립된 이후이다.
|